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금 시세

오늘의 금 시세, 오늘의 은 시세 - 1월 30일 2021년

오늘의 금 시세, 오늘의 은 시세 - 1월  30일  2021년

오늘의 금 시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내가 살 때 ( 부가세 10% 포함 안 됨 )

 1  3.75 gram

269,700 

내가 팔 때

 1  3.75 gram

269,100 

그리고 백금 ( 플래티늄 ) 도 요즘에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백금 프로포즈 반지 , 백금 목걸이 그리고 백금을 투자를 물어보는 분들이 요즘에 많아졌습니다.

오늘의 백금 ( 플래티늄 ) 시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내가 살 때 ( 부가세 10% 포함 안 됨 )

백금 1  3.75 gram

166,300 

내가 팔 때

백금 1  3.75 gram

144,200 

그리고 코로나19 시대에 은을 찾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이유는 은이 살균과 소독에 좋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며 은 가격이 조금씩 조금씩 올라가고 , 금 투자를 못하시는 분들이 은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은 시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내가 살 때 ( 부가세 10% 포함 안 됨 )

 1  3.75 gram

3,820 

내가 팔 때

은 1  3.75 gram

3,430 

그리고 

오늘의 국제 금 시세는 1 온스 에 USD 1,854 입니다.

1 온스는 31.1035 gram 입니다.

오늘의 국제 백금 ( 플래티늄 ) 시세는 1 온스에 USD 1,085 입니다.

그리고

오늘의 미국 주식 시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 미국 다우 지수 - 29,983 - 간밤에 620 point 많이 떨어졌습니다.

* 미국 나스닥 지수 - 13,070 - 간밤에 270 point 떨어졌습니다. / 다음주 월요일 2월 1일 오늘의 주식 시세가 궁금해 집니다. 지혜가 많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오늘의 금 시세는 주식처럼 매일 실시간 변동하기 때문에

꼭 물어보시고 연락주세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전세계 펜더믹 상태, 코로노믹스 경제 상황

현재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을 포함한 주요 선진국들이 코로나로 인한 펜더믹 상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는 상황이다. 추가로 확산 속도가 빠른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재차 발견되었으나 적용 가능한 백신 접종이 본격화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태가 진전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경제지표는 최근 양호하게 발표가 되고 있는 상황이 주가나 상품시장의 가격 상승에 일조하고 있다. 코로나 펜더믹으로 인한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분위기가 안전자산의 수요 증가 흐름에 기반을 받쳐주는 형세였다. 코로나 펜더믹은 2020년도 전반적으로 금 가격의 상승세를 견인하였다.  

 #미국 달러화의 약세 기조와 바이든 정부의 재정부양책 및 저금리 정책 유지

미국의 저금리 정책 유지와 재정부양책의 확대로 인하여 미국 달러화의 약세기조가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의 새로운 정부인 바이든 민주당 정부는 정책을 통한 통제가 정부의 기본입장이기 때문에 코로나 사태를 잠재우기 위해서는 정부의 제정정책을 통한 부양책이 최선일 것이라는 기조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비둘기파인 재닛 옐런 전 FOMC 의장을 바이든 내각 초대 재무장관으로 내정하고 있어서 이러한 재정정책의 확대가 더욱 가시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올해도 달러화의 약세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시장분위기는 거의 굳어져 가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어 미국달러화 약세로 인한 금가격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감 확산

유가, 전기동의 상승과 더불어 미국 달러화의 통화팽창이 인플레이션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심지어 FOMC 회의에서 연간 2%대의 인플레이션 상승률을 용인할 수 있다는 연방준비위원회(FOMC)의 제롬파월 의장의 발언이 이를 기정 사실화된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을 정도의 전망이 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감으로 인하여 금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품시장 전반적인 상승세. 특히 원유와 전기동의 가격 상승세 뚜렷

인플레이션이 가시화되면서 상품시장의 상승세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특히 유가와 전기동의 상승세가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화이트 계열 귀금속의 상승세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품시장의 상승세가 금가격의 상승세에 튼튼한 버팀목으로써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금값 하락요인

금 가격이 2019년 대비 2020년에는 약 $380(27%) 수준까지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기 때문에 대규모 차익매물이 나올 확률이 잠재하고 있다. 또한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도 기존의 백신체계 안에서 관리가 되어 코로나의 펜더믹 상황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다면 금 가격은 위험자산을 선호하는 현상의 부각으로 약세로 반전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코로나 사태의 진전은 추가 부양책의 규모를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달러화의 약세 기조를 어느 정도는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금 가격의 하락요인이 될 수 있다. 수요 측면에서는 경기 위축으로 인한 금 수요의 주요 소비국인 중국과 인도의 수요가 축소될 수 있기 때문에 실물 수요 하락으로 금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금값 상승요인

2021년도 금 가격의 가장 큰 상승요인은 미국 달러화의 약세기조이다. 이와 더불어 추가정인 재정 부양책으로 인하여 시중에 많은 통화량이 유통될 경우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 현상으로 금 가격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모기지 금리상승으로 인한 개인 파산을 저지하기 위해 금리를 낮추고 미 정부가 채권을 매입하고 있는 상황이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상황이 금 가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바이든 민주당 정부의 추가 부양책에 대한 계획안이 공화당 정부보다 크기 때문에 미국의 달러화 약세는 큰 흐름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이란, 북한 간의 위기 고조가 금 가격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코로나 펜더믹의 지속이 금 가격에는 상승요인으로 상반기에는 작용할 것이다.     2021년도 금 가격은 하락요인보다는 상승요인이 많아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에 더 무게를 둘 수 있다. 미국 달러화의 약세기조와 재정부양책으로 인한 통화량의 확대는 화폐가치의 하락을 초래하여 대체 통화이자 근본 통화인 금에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또한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재닛옐런 재무장관의 새로운 정책에 따라 급락할 경우 가상화폐자산으로 투자된 자금이 다시 금 시장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금 가격은 전반적으로 상승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올해 국제 금 가격은 $2,000선을 상회하는 가격에서 거래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최고 $2,200선까지 상승할 것으로 분석된다.  - 주얼리신문에서 발췌함